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입만 크게 벌려도 딱딱 소리나는 턱관절 장애

by sojong57 2025. 8. 15.
반응형

 

 

 

 

턱관절(Temporomandibular Joint, TMJ)은  입을 벌리고, 닫고, 옆으로 움직이는 모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관절로, **머리뼈(측두골)**와 **아래턱뼈(하악골)**가 연결되는 부위입니다. 턱관절은 작은 구조지만, 음식 섭취·발음·표정 등 일상 기능에 필수적입니다.
구조가 복잡하고 사용 빈도가 높아 관절원판 변위·염증·인대 손상 같은 문제가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1. 턱관절 장애란?

입만 크게 벌려도 딱딱 소리나는 턱관절 장애 관련 이미지
입만 크게 벌려도 딱딱 소리나는 턱관절 장애

 

  • **턱관절(TMJ)**은 귀 바로 앞쪽에 있는 관절로, 입을 벌리고 닫는 모든 동작에 관여.
  • 관절 구조(뼈, 관절원판, 인대, 근육)에 문제가 생기면 통증·소리·운동 제한이 발생.

2. 주요 증상

 

입만 크게 벌려도 딱딱 소리나는 턱관절 장애 관련 이미지
입만 크게 벌려도 딱딱 소리나는 턱관절 장애

 

  • 입을 크게 벌릴 때 한쪽(왼쪽)에서 **“빠지는 느낌”**이 듦
  • 다시 다물 때 ‘딱’ 또는 ‘뚝’ 하는 소리가 남
  • 과거부터 턱 소리와 통증 경험 있음
  • 현재 통증은 거의 없지만 관절의 불안정이 지속
증상  유형설명
통증 귀 앞, 턱 주변, 관자놀이 등에서 뻐근하거나 날카로운 통증
소리 입 벌리거나 닫을 때 ‘뚝’, ‘딱’, ‘사각’ 소리
운동 제한 입이 잘 안 벌어지거나 중간에 걸림
비대칭 벌릴 때 턱이 한쪽으로 쏠림
기타 두통, 목·어깨 통증, 귀먹먹함, 이명

 

 

3. 원인

  • 습관성 과사용: 턱 괴기, 이를 악물기, 이갈이
  • 외상: 넘어짐, 턱 부딪힘, 치과 치료 중 과도한 개구
  • 식습관: 질기고 딱딱한 음식 과다 섭취
  • 스트레스: 근육 긴장 유발
  • 해부학적 문제: 선천적 관절 구조 이상, 인대 이완

 

입만 크게 벌려도 딱딱 소리나는 턱관절 장애 관련 이미지
입만 크게 벌려도 딱딱 소리나는 턱관절 장애

  가능한 원인

  1. 관절원판 변위(Disc displacement)
    • 턱관절 내의 연골 디스크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면서 벌릴 때 걸렸다 풀리며 소리 발생.
  2. 반복된 아탈구(Sub-luxation)
    • 턱관절이 완전히 빠지진 않지만, 벌릴 때 과하게 앞으로 밀려나갔다가 돌아옴.
  3. 관절 인대·연골의 약화
    • 오랜 습관(이 악물기, 딱딱한 음식 씹기, 턱 괴기) 등으로 관절 지지 구조가 약해짐.

4. 치료 방법

(1) 비수술 치료  -  대부분 초기에 효과적

  • 약물치료: 소염진통제, 근육이완제
  • 물리치료: 온찜질, 초음파, 전기치료
  • 스플린트(교합안정장치): 밤에 착용해 관절 부담 완화
  • 관절강 세척술: 관절 내 염증물질 세척
  • 생활습관 교정: 개구 제한, 음식 조절

(2) 주사 치료 - 중등도 이상·반복 아탈구

  • 히알루론산 주사: 관절 윤활 개선의 주사치료
  • 인대 강화 주사(Prolotherapy): 관절 안정성 강화

(3) 수술 치료 - 심한 경우

  • 관절경 수술: 디스크 위치 교정 (관절원판 위치 복원)
  • 절개 수술: 인대 관절 구조적 문제 교정 수술

5. 예방법

  • 하품할 때 손으로 턱 받치기
  • 큰 벌림 자제: 햄버거, 대왕김밥 등 한입에 넣는 음식 피하기
  • 딱딱·질긴 음식 줄이기: 오징어, 견과류, 마른 오징어
  • 턱 괴는 습관 없애기
  • 스트레스 관리: 명상, 스트레칭, 이를 악무는 습관 인지,완화
  • 자세 교정: 거북목·측면 수면 습관 개선,

 

입만 크게 벌려도 딱딱 소리나는 턱관절 장애

6.결론

턱관절 장애는 조기 발견·관리 시 비수술로 충분히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소리·빠짐·걸림 같은 증상이 반복된다면, 구강악안면외과턱관절 전문 치과에서 진단(MRI 포함)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.

  • 치과 중 턱관절 전문 클리닉 또는 구강악안면외과 방문
  • MRI 촬영 시 디스크 위치와 관절 상태를 정확히 확인 가능
  • 조기 진단 시 비수술 치료로 좋아질 확률이 높음

(별첨)    **턱관절 아탈구(반탈구)**와 관절원판(디스크) 변위의 주요 차이를 정리

 

구분 턱관절 아탈구(반탈구) 관절원판(디스크) 변위
느낌 입 벌릴 때 턱이 빠질 듯 함, 턱이 앞으로 밀렸다가 돌아옴 벌릴 때 걸림, 닫을 때 ‘딱’ 소리
소리 소리 없이 빠지는 느낌만 있거나, 닫을 때 ‘탁’ 주로 벌릴 때와 닫을 때 ‘뚝/딱’ 반복
통증 초기에는 없거나 약함, 반복되면 통증 가능 초기부터 통증 동반 가능, 진행 시 무통성 변위도 있음
벌림 범위 과도하게 벌릴 때 증상 심해짐 벌림이 제한되거나 중간에서 걸림
원인 인대 이완, 관절 구조 불안정, 습관적 과개구 디스크 위치 이상, 관절 내 염증 또는 외상
치료 접근 벌림 제한 훈련, 인대 강화, 스플린트, 습관 교정 스플린트, 물리치료, 관절강 세척, 필요 시 수술
예방 하품 시 턱 받치기, 큰 벌림 피하기 딱딱한 음식 피하기, 반복적 턱 사용 줄이기
 
  • **“빠지는 느낌”**이 주 증상이고, 크게 벌릴 때만 발생 → 아탈구 가능성↑
  • **“소리+걸림”**이 반복되고 벌림 제한이 있다면 → 디스크 변위 가능성↑
  • MRI를 찍어야 두 경우를 확실히 구분 가능
  •  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