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🧪‘투탕카멘의 저주’ 독성물질, 백혈병 특효약 열쇠로

by sojong57 2025. 7. 1.
반응형

 

 

 

🧪 1. ‘투탕카멘의 저주’의 과학적 정체: 독성 곰팡이 Aspergillus flavus

무덤 속 독성 곰팡이의 발견 경위

1922년, 고고학자 하워드 카터가 고대 이집트 파라오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굴한 이후, 수년 내 관련자들 중 일부가 급사하거나 원인불명의 병으로 숨지는 사건들이 잇따르면서 "파라오의 저주"가 세간의 화제가 되었습니다.

1970년대 폴란드 카지미르 4세 묘 발굴 현장에서도 동일한 곰팡이가 발견되며 비슷한 의문사가 보고됐습니다

 

이후 과학자들은 **무덤 내부에서 곰팡이균 ‘Aspergillus flavus’(아스페르길루스 플라부스)**를 발견했으며, 이는 공기 중의 포자 흡입 시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독성물질을 생성한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.

이 곰팡이는 또한 **아플라톡신(aflatoxin)**이라는 극강의 간암 유발 독소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. 바로 이 곰팡이가 오늘날 백혈병 치료 연구의 중심에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.

투탕카멘의 저주 독성물질 관련 이미지
투탕카멘의 저주 독성물질

 


🧬 2. 치명적 독성에서 의학적 치료제 : RiPPs라는 새로운 물질군

2024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연구팀은 Aspergillus flavus에서 추출한 리보솜 유래 펩타이드 물질, 즉 **RiPPs(Ribosomally synthesized and Post-translationally modified Peptides)**에 주목했습니다.
이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습니다:

  • 아주 작은 펩타이드 단백질로, 세포 내 특이적 신호 전달 및 단백질 기능을 조절함.
  • 일반 항생제보다 세포 특이성이 높아 정상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.
  • 이 곰팡이에서 유래한 RiPPs는 새롭게 “아스페리지노마이신(asperigimycins)”이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습니다.

연구팀은 이 중 4가지 RiPPs를 분리했으며, 이 가운데 2종이 백혈병 치료 효과를 보였습니다.

 

투탕카멘의 저주 독성물질 관련 이미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투탕카멘의 저주 독성물질 


⚗️ 3. 백혈병 치료 효과: 항암제 못지않은 강력한 작용

분리된 아스페리지노마이신 중 2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:

  • 백혈병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억제
  • 작용 기전: 미세소관(microtubules) 형성을 억제해 세포 분열 과정에서 암세포의 복제를 차단
  • 기존 항암제인 시타라빈(cytarabine), **다우노루비신(daunorubicin)**과 유사한 혹은 그 이상의 효과
  • 특히 급성 골수성 백혈병(AML) 세포에서 높은 선택성과 효능을 보임

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정상 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아, 부작용이 적다는 것입니다.


🧫 4. 자연 독성에서 정밀의학으로: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

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임상적 함의를 가지고 있습니다:

  • 기존 항암제의 내성 문제나 전신 독성 부작용을 피할 수 있는 대체 치료제 가능성
  • 표적 치료 및 면역치료와의 병용 요법 가능성
  • 백혈병 외에도 다른 혈액암, 고형암에서의 확장 가능성

🧪 5. 향후 연구 계획과 기대

현재는 세포 실험 단계에서 입증된 결과이며, 다음과 같은 연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:

  • 쥐 등의 동물 실험을 통해 체내 작용과 안전성 평가
  • 전임상 독성 평가 및 약동학 분석
  • 사람 대상 1상 임상시험(안전성 중심) 진입 계획

연구팀은 “자연계의 가장 치명적인 독성 생물이, 역설적으로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열쇠를 지니고 있었다”고 밝히며, 곰팡이에서 유래한 이 펩타이드가 새로운 항암제 개발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


🧭 정리 요약

항목내용
✅ 관련 곰팡이 Aspergillus flavus (투탕카멘의 무덤 내 발견)
⚠️ 본래 성질 폐감염, 간암 유발 아플라톡신 생성
💊 새로 발견된 물질 Asperigimycins (RiPPs 계열 펩타이드)
🎯 작용 기전 미세소관 억제 → 백혈병 세포 증식 억제
💡 기대 효과 기존 항암제 수준의 효과 + 정상 세포 영향 적음
🔬 연구 단계 세포실험 → 동물실험 예정 → 임상시험 준비 중
 

📌 마무리

“투탕카멘의 저주”로 알려졌던 전설은 이제 인류를 위협하는 백혈병 치료에 새로운 돌파구가 되고 있습니다. 과거의 공포가 미래 의학의 열쇠로 전환되는 이 놀라운 전환은, 자연의 다양성과 생명과학의 가능성을 다시금 일깨워줍니다.

 

 

 

 

반응형